1965년생 국민연금 수령나이, 수령시기

1965년생 국민연금 수령나이 및 수령시기, 수령년도

오늘은 1965년생 국민연금 납입기간에 따른 1965년생 국민연금 수령나이 및 수령시기, 수령년도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. 

출생년도에-따른-국민연금-노령연금-조기연금-분할연금-수급연령표

1965년생 국민연금 수령나이는 만 64세라고 합니다. 1965년생 조기 국민연금 수령시기는 만 59세부터이며 분할연금 수급개시연령은 만 64세부터라고 합니다. 

쌓인-동전-위에-놓여-있는-돼지저금통

따라서 1965년생 분들이 만 64세가 되는 해는 2029년이라고 합니다. 2029년도 본인 주민등록생일 월 다음달부터 국민연금 수령이 가능하다고 합니다. 5월생이라면 6월부터 수령이 가능합니다. 국민연금 분할연금 또한 2029년도부터 가능하며 국민연금 조기노령연금만 59세가 되는 2024년부터 신청이 가능합니다.

<1965년생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및 조회 방법>
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및 조회 방법으로는 공동인증서 없이 간단하게 예상연금을 알아보는 방법이 있구요. 또한 공인인증서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과 국민연금예상월액표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고 해요.

국민연금홈페이지에서- 내연금 알아보기- 순서

공동인증서없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및 조회방법은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를 클릭한 다음 왼쪽 하단에 있는 내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해주세요. 

인증없이 간단하게 예상연금 알아보기가 있는데요. 여기에는 인증없이 확인할 수 있는 예상연금 모의계산과 예상연금 간단조회 두가지 항목이 있답니다. 

인증없이-알아보는-간단예상연금-배너

먼저 예상연금 간단조회 방법을 알아보면 내연금 알아보기에서 예상연금 간단조회를 클릭하시구요. 

예상연금- 간단조회-월납입별- 연금- 지급금액-예시-배너

월 납입 보험료 항목에 보험료를 입력한 다음 예상연금액 조회하기를 클릭하면 소득기준과 함께 연금별 지급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해요. 이 방법은 노령 및 장애 유족연금 예상액을 인증과정 없이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해요.

다음으로 예상연금 모의계산 항목은 기본정보 및 소득, 크레딧 대상 입력 후 결과보기를 클릭해 예상연금을 조회해 볼 수 있는 항목이라고 하는데요. 다만 만 60세 이상은 가입대상이 아니기 때문에 계산할 수 없구요. 또한 노령연금 수급이 가능한 최소 가입기간이 10년이 되어야 한다고 해요. 

 예상연금-모의계산-각-정보입력-예시-모습

예상연금-모의계산-장점을-설명-하고-있는-이미지

예상연금 모의계산 항목은 최장 만 60세까지 납부한다는 가정 하에 계산되기 때문에 이 점은 참고해야 하구요. 실제 가입이력을 기초로 한 보다 정확한 예상연금액은 인증을 한 후에 예상연금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고 합니다.
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및 조회방법으로 공동인증서를 통해 알아보는 방법이 있는데요. 먼저 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자주찾는 민원서비스 클릭한 다음 합니다. 내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해 주세요. 

공동인증서를-통해-내연금-알아보기-방법-순서-모습

인증하고-내연금-알아보기에서-예상연금액-조회-선택-모습

인증을 하고 내연금 알아보기 항목에서 예상연금액 조회를 클릭하면 예상수령액이 얼마인지 확인이 가능한데요. 물론 이 또한 최소 가입기간인 10년이 되어야 한답니다.

세전-예상-국민연금이-조회된-홈페이지-화면

예상수령액은 현재 기준과 최근 5년간 소득상승률에 따라 달라진다고 하는데요. 최저는 3.2%, 평균은 4.1%, 최고는 4.9%라고 해요. 특히 오른쪽 상단에서 본인이 직접 선택해서 비교할 수 있다고 합니다.
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및 조회 방법으로는 국민연금 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를 통한 방법도 있는데요. 노령연금 예상연금월액표는 지금까지 낸 보험료를 토대로 미래 예상되는 가입기간을 적용하여 예상수령액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해요.

국민연금-홈페이지에서-예상연금월액표- 확인-순서

예상연금월액표에서는 현재 내고 있는 보험료를 토대로 미래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. 만약 300만원의 소득에 270,000의 보험료를 20년 동안 낸다고 가정 했을 때 예상연금월액표에서는 매월 575,620원의 연금을 지급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해요. 하지만 이 또한 예상연금액이기 때문에 참고만 해야 한답니다.

 국민연금-홈페이지-예상연금월액표- 연금지급예시

참고로 국민연금은 소득이 있는 국민이라면 의무 가입대상이 되구요. 또한 국민연금을 받기 위해선 최소 10년간 보험료를 납부해야 한다고 해요. 수령 조건을 채웠다면 60~65세 부터 평생동안 매달 연금을 받게 된다고 합니다.